본문 바로가기
Daily Drawing

[ #073 ] 목표를 위한 동기가 저하되는 이유

by sandclock 2025. 2. 21.
728x90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꾸준히 해나간다는 것의 어려움을 다시 한번 느끼면서 스스로를 의심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무너지지 않고 계속해서 나아가기 위해서 목표설정부터 다시 되짚어 보고자 한다.

 


꾸준한 동기를 유지하기

 

명확한 목적 부족 

목표를 설정할 때, 왜 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면 동기가 쉽게 저하된다.

단순히 남들이 하니까, 또는 막연한 기대감만으로 목표를 설정하면 지속적인 추진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목표의 이유를 깊이 고민하고,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구체적인 이유를 정하면 동기 부여가 지속되기 쉽다.

 

 

당신의 ‘이유’를 알면, 어떤 ‘방법’도 견뎌낼 수 있다.

 



즉각적인 보상이 부족함

장기 목표일수록 당장 얻는 보상이 없기 때문에 동기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인간의 뇌는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하기 때문에, 목표가 먼 미래에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현재의 유혹에 흔들리기 쉽다.

 

목표를 작은 단위로 쪼개고, 작은 성공마다 보상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만족을 지연할 수 있는 능력은 성공의 중요한 지표이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하면 쉽게 좌절할 수 있다.

특히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작은 실수에도 동기를 잃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실패를 최종적인 결과가 아닌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실수에서 배우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를 피하려 하기보다는, 실패를 통해 성장하는 기회를 찾는 것이 동기를 유지하는 핵심이다.

 

 

실패는 단순히 다시 시작할 기회일 뿐이며,
이번에는 더 현명하게 시작하면 된다.




외부 요인의 방해

SNS등의 외부 자극이 많을수록 목표를 향한 집중력이 떨어진다.

주의가 산만해지면 목표 달성에 필요한 행동을 지속하기 어려워지고, 자연스럽게 동기도 저하된다.

환경을 정리하고, 목표에 집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산만함을 줄이고, 집중력을 키워라.

 

 



잘못된 목표 설정

자신의 현재 역량과 맞지 않는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설정하면 도달하기 어려워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너무 쉬운 목표를 설정하면 도전 욕구가 생기지 않아 금방 흥미를 잃게 된다.

 

 

 

올바르게 설정된 목표는 이미 절반 이룬 것이다.

 


© miroiroz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use or reproduction is prohibited.

© miroiroz 모든 권리 보유. 무단 사용 및 복제를 금합니다.

728x90
반응형

top
bottom